본문 바로가기
인도

2022년 인도 경제 전망

by 코린디아 2022. 7. 29.

2022 인도 경제 전망


한 나라의 경제를 전망한다는 것은 사실 고려해야 할 점이 너무 많기 때문에 어느 방향에서 바라보는지 여부에 따라 많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2년 인도 경제 전망을 경제성장률 예측치와 더불어, 인도를 전반적으로 설명하는 포스트를 작성하려 합니다.



인도 개요


인도의 전반적인 정보에 대해서 우선 간략히 짚어보겠습니다. 인도라는 나라가 어디에 있고,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살펴보시는 것도 흥미로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인도의 위치


인도는 남아시아 적도의 북쪽에 위치한 국가로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미얀마, 티베트, 부탄, 네팔 그리고 중국과 이웃하고 있습니다. 영토의 크기로는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큰 나라인 만큼 이웃하고 있는 나라도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국경의 길이는 총 7,517km에 달합니다.

인도가 중심에 있는 세계지도 발췌 이미지
인도 주변의 나라들

인도의 수도는 뉴델리입니다. 뉴델리는 인도 지도 기준 중앙 북쪽에 위치해 있는데요, 인도도 워낙 땅이 넓다 보니 발리우드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의 인종뿐 아니라 아랍계열, 중국인이나 한국인으로 보이는 아시안 계열 등 여러 인종이 섞여있습니다. 또,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구수가 많은 국가가 바로 인도인데, 몇 년 안에 중국의 인구수를 인도가 뛰어넘을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인도를 가난한 나라로만 생각하고 있지만, 사실 인도는 독자적으로 핵무기를 보유한 국제사회의 강대국 중 하나이고, 많은 인구수로 내수시장이 탄탄한 인구 강국입니다. 현재는 자유민주주의를 채택한 자본주의 국가로 정권이 교체되어 천천히 발전하고 있는 국가이기도 합니다.


인도의 국가 구성


인도는 현재 자유민주주의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총리와 대통령 따로 있는데, 총리가 사실상 국정을 관리하고 대통령직은 상징적인 위치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인도의 총리는 '나렌드라 모디'라는 분으로, 그는 2014년부터 인도의 총리직을 지내고 있습니다.
의회는 상원, 하원이 있는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의원들의 임기는 5년을 기본으로하고있고, 다음 선거는 2024년 5월에 이뤄지게 됩니다. 흥미로운 점 중 하나는, 국회의원 한 명당 대표하는 인구의 수가 가장 많은 나라가 인도라는 점입니다. 인구수가 워낙 많다보니 평균적인 국회의원당 대표인구수를 맞추려면 국회의원의 수가 또 너무 많아지게되는 애로점이 있습니다.
인도는 28개 주와 8개의 연방 직할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공화국의 형태로 한국과는 국가 구성의 형태가 다른 점이 있는데, 연방정부와 지방정부가 각각 맡은 역할이 나눠져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넓은 영토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인구수 덕분에, 인도는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 국가로 불리기도 하는데요, 아직은 부정부패와 비민주적인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카스트제도와 시대에 맞지 않는 사건사고 뉴스들로 인도의 이미지가 형성된 분들도 많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인도 인구는 약 13억8천만명정도로 추산되고, 인구 증가율은 2020년 기준 약 0.99%입니다. 공용어는 힌디어와 영어가 있고, 각 지역별로 쓰이는 공식 언어가 최소 16개 이상인 국가입니다. 인도의 문맹률은 22.3%이고, 인도 남성 평균 수명은 67.5세, 인도 여성 평균 수명은 69.8세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인도의 경제


인도의 GDP는 2021-22 기준 3조500억 달러입니다. 2020-21년의 GDP가 2조5600억 달러였던 것을 보면 GDP에서 약 19.4% 성장한 셈입니다.
인도의 회계년도는 매년 4월1일부터 다음해 3월 31일인데요, 년도를 걸쳐서 회계년도가 설정되어 있어서 2021-22, 2020-21 등의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2020-21은 2020년 4월부터 2021년 3월까지의 회계년도, 2021-22는 2021년 4월부터 2022년 3월까지의 회계년도를 의미합니다.
2022년 경제성장률은 기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7%에서 9% 사이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2022-23 성장률 예상치가 2021-22 성장률보다 많이 떨어진 이유는, 국제적으로 만연한 인플레이션과 공급망 불안, 그리고 인도를 둘러싼 지정학적 불안때문이라고 합니다. 


인도의 인프라


경제를 논함에 있어서 인프라를 빼놓을 수는 없습니다. 인도가 아직은 개발해야할 곳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워낙 영토가 방대하기 때문인 이유도 있습니다. 대도시권은 인도에서도 당일, 익일배송이 가능하고, 외곽지역도 2~3일이면 택배 배송이 가능한 것을 보면, 인도가 가진 일반적인 이미지와 달리 인프라가 꽤 잘 구축되어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 인도에는 총 153개의 공항이 있고 그 중 29개는 국제공항입니다.
  • 인도 전역에 설치된 철도의 총 길이는 126,366km이고, 총 12,729개의 기관차가 운행중입니다.
  • 인도 전역을 매일 13,169개의 여객열차가 7,325개 역을 통해 운행하고 있습니다.
  • 인도의 도로는 전체 길이가 638만 km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도로의 길이가 긴 국가입니다.
  • 수로는 총 14,500km 이고, 첸나이, 뭄바이 등 총 13개의 주요 항구로 내륙 운송이 진행됩니다.

DHL등 국제 우편을 이용해보시면, 서류등은 한국에서 인도로 가는데 2~3일 내에 도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택배를 보낼 때는 통관에서 시간이 지체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 1주일 내에 수령자에게 도착하게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