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도

인도 최대의 축제 디왈리 (Diwali, 빛의 축제) 뜻과 일정 총 정리

by 코린디아 2022. 8. 14.

인도 최대의 축제 디왈리, 빛의 축제 뜻과 일정 총 정리


인도 최대의 명절, 축제는 10월 중순에서 11월 중순 사이에 열리는 디왈리입니다. 인도에는 매우 많은 신들이 있기 때문에 전국적인 축제만 연간 50개가 넘고 지역별 축제는 그 수가 더 많은데, 그중 가장 인기있고 유명한 축제가 디왈리입니다. '왈리'는 빛이 어둠을 이기고, 선함이 악함을 이기며, 지식이 무지를 이긴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디왈리는 디발리, 디파발리라고도 불리는데, 디파발리는 Deep과 Wali의 합성어로, 각각 '초'와 '빛'을 의미해 '빛의 축제'가 됩니다





디왈리란?


서두에서 기재한 것처럼, 디왈리는 인도 최대의 축제로, 빛의 축제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홀리 축제, 두세라 축제와 함께 인도 3대 축제로 꼽히고 있는데, 디왈리가 그중 가장 유명하고 인기 있는 축제입니다. 산스크리트어 디파발리는 '빛줄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디파발리가 디왈리의 어원입니다. 

 

한국의 추석, 미국의 추수감사절과 같이, 디왈리는 한 해의 마지막 수확을 기념하는 축제이기도 합니다. 빛이 어둠을 이긴 신화를 기념하면서 한 해의 추수를 마무리하는 축제로, 인도인들은 총 닷새 동안 등불을 밝히고 폭죽을 터뜨리는 등 빛을 밝혀 힌두교 신들에게 감사를 표시합니다.

흥미로운 점은, 한국의 추석과 같이 보름(음력 15일로 보름달이 뜨는 날)을 기념한다는 점입니다.



디왈리 기간


디왈리는 10월에서 11월 사이에 진행됩니다. 디왈리 기간은 힌두력으로 계산을 해야 하는데, 힌두력 아슈비나월 13일째에 시작해서 카르티카의 2일까지 총 5일간입니다. 2022년 디왈리는 10월 22일부터 10월 26일까지 입니다. 5일간 계속되는 축제들은 매일 다른 이름으로, 다른 신들을 경배하는데, 5일 중 3일째를 디왈리라고 말할 수 도 있습니다. 즉, 5일의 기간도 디왈리이고, 그중 3일째 되는 날도 디왈리인 것입니다. 5일 간 진행되는 축제날 각각의 이름과 축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 첫째 날:단테라스(Dhanteras)
  • 둘째 날:나락 차투르다시(Narak Chaturdasi)
  • 셋째 날:디왈리(Diwali),디파발리(Deepavali)
  • 넷째 날:파드와(Padwa)
  • 다섯째 날:바이 두즈(Bhai Duj)



디왈리 1일 차, 단테라스


디왈리의 첫째 날인 단테라스(Dhanteras)는 지역에 따라 디왈리보다 더 성대하게 기념하는 경우도 있는 축제의 시작일입니다. 비슈누의 화신이면서 의학의 신인 단반타리가 아유르베다*를 전파하기 위해서 바다에서 나온 날로 기념되기도 합니다.

첫째 날은 락슈미와 단반타리를 경배하기 위해서 집 안팎에 랑골리*라는 전통문양을 그려서 장식하고, 부와 번영을 기원합니다. 그렇다 보니 첫째 날 금과 보석, 새 옷, 가전제품 등 새로운 물건을 구입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마치 한국에서 설날에 설빔을 구입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인도의 블랙프라이데이를 단테라스로 부르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로, 첫째 날인 단테라스에 인도의 소비심리가 촉진됩니다.



*아유르베다: 인도의 전통 의학

*랑골리: 쌀가루, 석회가루 등의 가루를 마당 바닥에 뿌려 문양을 만드는 인도의 전통 예술로, 대칭을 이루는 원형의 문양을 만든다. 랑골리는 여자만 그릴 수 있다고 여겨지는 풍습이 있다.



디왈리 2일 차, 나락 차투르다시


둘째 날은 디왈리 전 날, 작은 디왈리라는 의미에서 초티 디왈리(Choti Diwali)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비슈누의 화신 크리쉬나가 악한 신 나라카수라를 무찌르고 세상을 구원했다는 신화를 기원하는 의미도 있습니다.

둘째 날은 외출하기보다는 각자의 집에서 목욕을 하고 쉬는 전통이 있는데, 현대에 와서는 '디왈리 이브'로 부르며 친척들을 방문하고 인도의 전통 간식(미타이)을 교환하는 날이 되었습니다. 악신의 형상을 태우는 것으로 크리쉬나를 경배하는 의식을 치르기도 합니다. 둘째 날 목욕을 하는 풍습은, 크리쉬나가 나라카수라를 물리치고 난 다음 그의 아내가 크리쉬나의 몸을 깨끗하게 씻겨주었다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디왈리 3일 차, 디왈리 & 디파발리,
락슈미 푸자


셋째 날의 이름은 디왈리로, 디왈리 축제 당일입니다. 한국의 추석은 음력 8월 15일을 기념하는데, 디왈리는 힌두력으로 8월 15일을 기념합니다. 힌두력에서는 한 해의 마지막 날입니다.

셋째 날의 또 다른 이름은 락슈미 푸자 무후라트(Lakshmi Puja Muhurat)인데, 락슈미 여신을 맞이하는 의미에서 집안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가족과 친척들이 모여 선물을 교환합니다.

락슈미 여신이 아닌 가네샤를 찬양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락슈미는 부와 풍요를 가져다주고, 가네샤는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신이기 때문에 셋째 날에 경배하는 이유는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도인들은 셋째 날에 "해피 디왈리"카드를 보내거나 서로 간의 안부를 물어보며 기념하는데, 한국의 명절과 비슷합니다. 이 날 전국적으로 성대하게 불꽃놀이를 진행해 인도 전역에서 불꽃놀이로 인한 연기, 대기오염을 우려하기도 합니다.

폭죽으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쓰레기는 매년 디왈리마다 인도에서 문제가 돼 인도 정부에서는 축제기간 폭죽 사용을 금지하도록 권고합니다. 하지만 최대의 축제이고 빛의 축제라는 이름이 있다 보니, 인도인들이 폭죽으로 성대하게 기념하는 경향은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디왈리 4일 차, 파드와


넷째 날은 힌두력 새해 첫 날로, 인도인들은 넷째 날 시작하는 일에 행운이 따른다고 믿습니다. 이 날은 지역, 종교 및 종파마다 부르는 이름이 조금씩 다르고 기념하는 것이 다른데, 대부분 크리쉬나를 경배하고, 부부간의 사랑과 헌신을 표현하곤 합니다.  



디왈리 5일 차, 바이 두즈


다섯째 날은 마지막 날로 바이 두즈, 바라트리 두즈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데, 형제라는 단어가 들어간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보통 여성이 남자 형제들을 초대해 대접하고, 남성은 선물로 답례를 하는 것으로 우애를 다집니다. 여자 형제들은 남자 형제의 이마에 붉은 점을 찍어 액운을 막고 건강을 기원합니다.ㅇ축제의 마지막 날이다 보니 가족들끼리 새해를 기념하고, 함께 식사하며 보내곤 합니다. 



마치며


디왈리는 5일간 이뤄지면서 인도의 최대 세일 기간이 됩니다. 물건을 사는 것부터 디왈리 음식을 마련하는 것, 전통 간식을 교환하고 가족들에게 선물을 주는 것 등 많은 소비가 이뤄지는 기간이기 때문입니다. 기독교 국가의 크리스마스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각종 온라인 쇼핑몰부터 백화점까지 디왈리 기간에는 세일을 많이 하고, 한 해 매출의 20% 이상이 디왈리 기간에 발생합니다. 인도의 기업들은 물론 인도에 진출한 글로벌 브랜드들이 디왈리 기간의 마케팅에 집중하는 이유입니다.

인도의 뷰티&패션 온라인 쇼핑몰 나이아카(Nykaa), B2C 플랫폼 플립카트, 민트라, 아마존 인도 등에서도 디왈리 기간에는 성대한 마케팅을 진행합니다.



디왈리는 인도의 가장 큰 축제이지만, 네팔, 스리랑카, 미얀마,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에서도 빛 축제를 휴일로 지정해 둔 점도 흥미롭습니다.  



본문에서 언급한 셋째 날의 폭죽놀이로 인한 대기오염, 쓰레기 문제 외에도 디왈리 기간 동안 장식으로 사용한 전구, 초, 등불 등도 사회적 문제가 됩니다. 밤낮으로 터지는 폭죽으로 인한 소음문제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댓글